총1084건 168 / 217 (pages)
많이 익숙해졌지만 여전히 다소 낯선 중견기업과 중견기업인의 실제 활약상이 소개됩니다. 중견련은 우리 경제의 '허리'인 중견기업에 대한 합리적 인식을 확산하고, 바람직한 기업 성장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중견기업 열전'을 온라인에 연재합니다. 우수 중견기업의 성공 사례와 중견기업인의 경영 철학, 역경 극복 노하우 등을 인터뷰, 현장 르뽀, 편지 등 다채로운 형식으로 구성할 예정입니다. 13일 공개된 첫 번째 '열전'의 주인공은 태양광 전문기업 '신성이엔지'입니다(http://ahpek.or.kr/main/news/heated.php). 1977년 문을 연 '신성이엔지'는 2007년에 태양광 사업에 뛰어든 지 불과 십 년 만에 세계 최고 고효율 태양전지를 자체 개발하면서 글로벌 태양광 전문기업으로 발돋움했습니다. 중견련 관계자는 "대한민국 경제 발전의 토대를 이룬 중견기업의 ‘진짜’ 역할, 독자적 성공신화를 달성한 불굴의 기업가정신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중견련 홈페이지, 뉴스레터, 앱, SNS 등 온라인 채널에 연재하고, 연말에 단행본으로 갈무리해 발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견련은 중견기업 인식개선 공모전, 채용 박람회 등 사업은 물론 적극적인 온라인 소통을 통해 중견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하고, 중견기업 육성ㆍ발전 필요성에 공감하는 여론 환경 조성에 힘써왔습니다. 2016년 5월 출시한 '중견련 앱'의 이용자는 약 8,000명에 달합니다. 중견기업의 규모와 특정 기업군 중심의 콘텐츠 특성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중견기업 이슈와 중견기업 정책 등 많은 소식을 제공하는데, 특히 중견련이 선별한 우수 중견기업 채용 정보에 대한 호응이 높습니다. 지난해 3월에는 '중견기업 홍보 지원 서비스'를 론칭하고, 언론 홍보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무료'로 대행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101개 기업을 대상으로 172건의 서비스를 수행했습니다. 온라인 신청만으로 비회원사도 회원사와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중견기업 홍보 담당자 협의체인 '중견기업 홍보 협력 네트워크'도 가동 중입니다. 강승룡 중견련 회원본부장은 "과거, 현재의 활약상과 향후 우리 경제에서 차지할 가치, 잠재력에 비해 중견기업의 인지도는 여전히 높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중견기업의 경제ㆍ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데 더욱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중견기업 열전' 참여는 중견련 홈페이지, 앱 '중견기업 홍보 지원 서비스(http://www.ahpek.or.kr/main/etc/pr_support.php)' 메뉴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문의: 중견련 홍보팀 02-3275-3124, 2987).
발행일 2018-03-13
정부가 중견기업의 경쟁력 및 역량 강화, 중견기업 성장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작업을 본격화합니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9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개최한 '제170회 중견기업 CEO 조찬 강연회'의 연사로 나서, "우리나라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돌파하는 데 우리경제의 '허리'인 중견기업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면서, "관계부처 역량을 결집해 '중견기업 비전 2280'의 후속조치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강연회에는 백운규 산업부 장관, 강호갑 중견련 회장을 포함해 아주그룹, 삼강엠앤티, 네패스, 캠시스 등 중견기업 대표 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백 장관은 최근 발표한 '중견기업 비전 2280 세부 이해방안'의 주요 내용을 중견기업인에게 직접 설명하고, 5대 신산업 프로젝트, 주력산업 고도화 방향 등 핵심 산업 정책의 비전과 세부 전략을 소개했습니다. 백 장관은 "중견기업은 전체 기업의 0.1%에 불과하지만 일자리의 5.5%, 매출액의 17.3%를 담당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한국경제의 허리"라면서, "작년 기준 34개인 매출 1조 원 이상 중견기업 수를 2022년까지 83개로 확대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중견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치와 청년 취업난 해소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신기술 분야 초기 중견기업의 고급 연구인력 유치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별 중견기업 채용 로드쇼, 일자리 드림페스티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백 장관은 "우수 인재 채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견기업들을 위해 산업부가 적극 나설 것"이라며, "우수 인재 확보를 통한 양질의 알자리 창출은 소득주도 성장 선순환 구조의 출발점이자 핵심 연결고리"라고 강조했습니다. 강호갑 중견련 회장은 "'중견기업 비전 2280'은 중견기업을 우리 경제의 새로운 견인차로 설정하는 과감하고 정확한 성장 패러다임 전환의 출발"이라면서, "독보적인 성장 신화를 일궈 온 중견기업만의 도저한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성장의 주역으로 확고히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발행일 2018-03-12
중견기업을 대변하는 유일한 법정단체인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우리 경제의 '허리', 중견기업에 대한 합리적 인식 확산에 나섭니다. 중견련은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제3회 중견기업 인식개선 공모전'을 개최하고, 중견기업의 비전과 가치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한다고 12일 밝혔습니다. 2016년부터 시작된 '공모전'에는 현재까지 354개 팀이 참여했으며, 총 33개 수상팀에 2,730만원 상당의 상금이 주어졌습니다. 제1회 공모전 수상작인 '중견기업과 청년의 미래, 우리 손으로 만듭니다'의 제안을 반영해 '중견기업 페이스북 라이브 채용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공모전 슬로건은 '대한민국의 숨은 월드챔프 중견기업을 알려주세요'. 웹툰·포스터, UCC, 홍보 아이디어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창의성, 메시지 전달력, 활용성 등을 심사해 부문별 대상, 우수상, 최우수상 등 12개 팀을 선정, 총 1,200만 원의 상금을 수여할 예정입니다. 시상식과 작품 전시회는 5월 10일 세텍(SETEC)에서 열리는 '중견기업 일자리 드림(Dream) 페스티벌'에서 진행됩니다. 최희문 중견련 사업본부장은 "중견련은 중견기업의 우수 인재 확보와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해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 지역별 중견기업 채용 로드쇼, 중견기업 바로알기 특강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면서, "중견기업에 대한 합리적 인식 확산을 위해 공모전 아이디어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월 12일부터 4월 22일까지 '중견기업 인식개선 공모전 홈페이지(www.중견기업공모전.com)'에서 작품을 접수합니다
발행일 2018-03-12
2월 28일 강승룡 회원본부장, 심인수 회원팀장이 신규 회원사인 '오텍캐리어'를 방문해 회원증을 전달했습니다. 1985년 설립 이후 냉동공조기 제조업체로 활약해 온 '오텍캐리어'는 세계 최초의 에어컨 브랜드인 '캐리어'를 보유한 국내 Top3 기업입니다. 세계 최초로 18단계 바람 조절이 가능한 '에어로(Aero) 에어컨'과 '제트(Jet) 에어컨' 등을 출시하면서 세계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플랫폼인 'AI 마스터'를 탑재해 업계의 큰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강지성 '오텍캐리어' 전무는 "중소・중견기업의 동반성장과 R&D 지원 부문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라며, "국내 중견기업을 대변하는 공식 법정단체인 중견련이 정부・국회 등과의 소통 확대에 힘써주길 바란다"라고 말했습니다. 강승룡 회원본부장은 "중견련을 중심으로 한 중견기업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다양한 회원 서비스를 개발해 회원사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발행일 2018-03-05
중견련은 27일 '환노위 근로시간 단축 법안 통과에 대한 중견기업계 의견'을 통해 "근로시간 단축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국회 합의에 5년이 걸릴 정도로 첨예한 사안인 만큼 환노위 통과만으로 모든 쟁점이 해소된 것으로 마침표를 찍어서는 결코 안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2015년 노사정 대타협에 명시된, 성장 가능성 높은 중견기업이 많이 포함된 300명 이상 1000명 이하 근로시간 단축 유예 구간이 삭제됐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해 중견기업계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기 위한 소통이 부족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견련은 "이른바 약자 보호라는 도덕적, 당위적 명분만을 앞세워 차별적이고 급격하게 기업 경영환경을 위축시킨다면 근본적으로 우리 경제의 동반 성장 기반마저 잠식시킬 수 있다는 인식을 분명히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중견기업계는 "OECD 최상위권인 근로시간 단축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면서, 우리 경제․사회의 발전단계와 기업의 성장잠재력을 훼손하지 않는 최적의 합의점을 찾아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라면서, "법의 실효성을 높이고,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향후에도 현장의 실상을 면밀히 반영한 제도 개선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발행일 201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