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매거진 중심重深

중견기업 성공신화, 정책금융이 든든한 동반자로

 




 

중견기업은 우리 경제와 산업의 허리라고 한다실제로 지난 10여 년간 중견기업 수와 매출이 두 배 이상 성장하며 우리 경제의 수출과 고용을 견인했다. 2021년 기준 전체기업 중 중견기업 수 비중은 1.4%에 불과하지만 고용의 13.1%, 수출의 17.7%, 매출의 15.4%를 차지했다. 2022년 중견기업 수는 5,576개로 전년 대비 96개 늘었고매출과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10% 내외로 크게 늘면서 선전했다투자는 전년 대비 26.7% 늘어난 38.9조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다만 고용이 전년 대비 0.7만 명 감소했는데지난해 대기업으로 전환된 쿠팡의 고용인원 5만 명을 제외하면 오히려 늘어났다고 보는 게 맞다.

 

그간 중견기업은 기업 성장의 이음길에서 경제위기 극복과 혁신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대기업이 흔들리면 산업생태계 전체가 영향을 받는 현재의 대기업 계열 중심 경제구조에서중견기업은 원사업자이자 협력사의 지위에서 산업생태계의 가교 및 안전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왔다.

 

중견기업은 산업 공급망과 혁신성장의 핵심이기도 하다제조 중견기업의 84.6%가 소부장 산업 기업으로서 주요 품목의 국산화를 선도하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에 기여하는 한편바이오철강자동차 등 우리 핵심 산업군에 중견기업이 포진하고 있다.

 

이렇듯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중견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대내외 여건은 녹록지 않다미중 패권 경쟁과 두 개의 전쟁으로 공급망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글로벌 산업의 패러다임은 디지털 전환그린 전환을 중심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중견기업 진입 이후 성장 정체 경험과 세계적·독자적 경쟁력 확보 미흡, 지방 중견기업의 인재 채용 확보 어려움 등 기업 현장에서의 애로사항도 여전하다불확실한 경제환경 속에서 중견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더 많은 중견기업을 육성·지원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노력과 관심이 필수적이다.

 

다행히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중견기업 성장촉진전략’ 발표하면서 중견기업 지원에 발을 벗고 나섰고여야가 합의해 중견기업계 숙원과제였던 중견기업법의 상시법 전환이 이뤄지게 된 것은 매우 환영할 만한 일이다얼마 전 정부가 발표한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서는 시설투자 임시투자세액공제 1년 연장, R&D투자 세액공제율 상향외국인력 유입 규모 확대 등 중견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도 대거 포함되기도 했다.

 

또한중견기업 성장 지원을 위해서는 법적 안정성 확보 및 정부 정책과 더불어산업은행과 같은 정책금융기관의 금융지원도 중요하다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견기업이 아직 많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은 중견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규모를 꾸준히 늘려왔다. 2023에는 30조 원의 자금을 공급했는데이는 전체 공급 규모의 34% 수준에 달한다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여신상품만 34, 65조 원 규모로 운용 중이다특히올해는 혁신성장 분야 중견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1조 원 규모의 전용 상품도 출시를 기다리고 있다.

 

산업은행은 중견기업을 위한 다양한 투·융자 상품 라인업을 완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민간과의 공동펀드 조성어드바이저리 서비스 제공 등 IB 노하우까지 갖춘 국책 투자은행으로서중견기업의 글로벌 진출과 Next Jump-up을 지원할 수 있는 맞춤형 금융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중견기업들과 산업은행의 금융 플랫폼이 시너지를 이뤄더욱 많은 중견만리의 신화가 탄생하고 우리 경제를 이끌어 나아가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