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열 곳 중 여섯 곳이 경쟁력 제고를 위한 AI 도입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22일 발표한 '중견기업 AI 도입 및 활용 실태 조사' 결과를 통해 "중견기업의 59.1%가 AI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라면서, "제조업(59.7%)은 물론, 비제조업(57.7%) 분야에서도 AI 도입에 대한 요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라고 설명했습니다.
AI를 도입한 중견기업은 18.1%에 불과했지만, 이들 대부분(97.0%)은 AI가 성과 달성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의사 결정 정확도 및 속도 향상(41.2%)', '생산성 제고(38.2%)' 등을 구체적인 개선 사례로 꼽았습니다.
중견기업들은 AI 도입 과정에서 겪은 가장 큰 애로로 '전문 인력 부족(41.2%)'을 지목했다. '기술·인프라 부족(20.6%)', '초기 투자 비용(11.8%)',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11.8%)'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AI를 도입할 예정인 중견기업은 26.6%로 확인됐지만, 여전히 55.3%의 중견기업은 '높은 초기 비용(31.7%)', '투자 대비 효과 불확실성(19.2%)', '경영진의 낮은 관심도(19.2%)', '내부 전문 인력 부족(16.3%)' 등의 이유로 도입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2025년 8월 25일부터 9월 8일까지 중견기업 188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중견기업들은 AI 도입·확산을 위해 'AI 인프라 구축(22.9%)', 'R&D 및 투자 비용 지원(21.8%)', 'AI 전문 인력 양성(21.3%)', 'AI 도입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제공(20.2%)' 등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습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정부가 혁신경제의 국정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천명할 만큼, AI는 미래 산업 경쟁력의 요체로서 중견기업을 비롯한 모든 기업의 지속성장을 견인할 핵심 동력"이라면서, "R&D, 세제 등 일반적인 경영 지원은 물론, AI 관련 분야의 AI 전문 인력 양성, 여타 분야의 AI 인프라 구축 등 구체적인 산업별 정책 수요에 세심히 대응하는, AI 도입에 대한 현장의 의지를 빠르게 현실화할 수 있는 종합적인 지원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